시장을 선도하는 엘리베이터의 표준

그린스마트엘리베이터(주) 는 최고가 되겠습니다.

시장을 선도하는 엘리베이터의 표준

그린스마트엘리베이터(주) 는 최고가 되겠습니다.

사고대응요령

승강기 사고대응에 대해 얼마나 알고있습니까?

엘리베이터에 승객이 갇혔거나 각종 재앙에 대비하여 그에 맞게 사고대응이 잘되었는지 확인해볼 수 있으며,
사고시 응급처치, 긴급구조 요령과 비상 구출도 알아둬야 할 사고대응에 대한 준비자세입니다.

엘리베이터에 승객이 갇힌 경우

(1) 갇힘을 통보 받으면 즉시 유지보수 회사로 연락합니다.

(2) 갇힌 승객이 구출시까지 탈출을 시도하지 말고 안심하고 기다리도록 유도합니다. 승강기 안은 외부와 공기가 통하므로 질식의 염려가없고, 추락의 염려가 없으며, 정전시에도 비상등이 설치되어 내부를 밝혀주는 안전한 공간임을 알립니다.

(3) 비상 구출은 반드시 전문가가 하여야 합니다.

(4) 비상시 승강기 도어 및 카도어를 열고 승객을 구출할 때 승강로 바닥으로 추락할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엘리베이터 화재 시

건물에서의 화재 시

(1) 화재가 발생한 경우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비상 탈출해서는 안됩니다.

(2) 대피는 반드시 계단을 이용하고, 건물 내의 모든 엘리베이터는 대피 층으로 불러 들여 도어를 닫고 정지시켜 줍니다.

(3)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소화 활동 등의 목적에 맞게 동작시킵니다.

기계실에서의 화재 시

(1) 기계실에서의 화재는 전기기기용 소화기를 사용하여 소화 작업을합니다.

(2) 카 내의 승객과 연락을 취하면서 주전원 스위치를 차단합니다.

(3) 카가 층의 중간에서 멈추게 되면 위에서 말한 방법대로 승객을 구출합니다.

승강로에서의 화재 시

전선이나 레일의 윤활유가 탈 때 발생되는 매연에 질식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지진 발생시

(1) 지진 시 엘리베이터가 멈추는 경우가 생기므로 대피용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2) 진도 3 정도의 지진 후에는 관리 기술자, 진도 4 이상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전문 기술자의 점검과 이상 유무의 확인을 한 후에 운행을 재개합니다.

(3) 지진으로 승객이 갇힌 경우에는 앞의 방법에 따라 구출하고 구출 완료 후 상기의 점검 확인이 끝날 때까지 운전을 중지합니다.

엘리베이터 승객 비상 구출

승강기 위치 확인

(1) 감시반 및 승강장의 위치 표시기 확인

(2) 위치 표시기에 나타난 총과 실제 정지 층이 다를 수 있으므로 확인

전원 반드시 차단

이용자에게 구출작업시 시작 통보

승강기 정지 층에서 승강기 재확인

승강장 도어키로 승강장 도어를 반쯤 열고 승강기가 있음을 확인

카도어가 닫힌 경우

승강장 내부도어인 카도어가 닫혀 있으면 손으로 연다.

안전하게 구출

카 하부에 빈 공간이 있을 경우 이용자가 승강로로 추락 할 염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손을 잡고 구출

승강기가 중간에 정지 해있어 구출하기 어려운 경우 (일반적으로 카 바닥 승강장보다 60cm 이상 차이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가 (보수 업체 직원이나 119 구조대)에게 구조 요청

에스컬레이터 사고 시 응급처치

(1) 구출 작업 중 관계자 이외에는 에스컬레이터 부근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2) 구출 작업은 승객을 안심시키면서 진행합니다.

(3) 구출 작업을 위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은 절대 금지하여야합니다. 꼭 움직여야 할 경우 전원을 차단하고 움직여야 합니다.

(4) 기계실의 뚜껑을 떼어 내고 작업하는 경우에는 기계실 공간으로 사람이 떨어지지 않도록 감시원을 배치 하거나 안전책을 설치하여야합니다.

에스컬레이터 상황 별 긴급 구조 요령

핸드 레일 이너데크 부위에 손이나 신체 일부가 끼었을 경우

(1) 데크를 떼어 내고 이너데크를 벌리고 구출합니다.

(2) 위의 방법으로 구출이 안되면 승객을 끌어내는 방향으로 당기면서 수동 조작으로 서서히 작동시키면서 구출합니다.

핸드 레일과 건물, 천장의 협소한 부분에 신체의 일부가 끼었을 경우

승객이 난간부에서 바깥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끌어 안고 수동 조작에 의하여 하강 방향으로 서서히 작동시키며 구출합니다.

스텝과 스텝 라이저 사이에 끼었을 경우

승객의 상황에 따라 수동 조작으로 구출 하거나 고장 장소 앞뒤의 스텝을 순차적으로 떼어 내고 구출합니다.

스텝을 떼어내는 방법은 알루미늄이 케스팅인 경우와 그레스제품일 경우가 서로 다르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스텝 크리크와 콤 사이에 끼었을 경우

콤을 떼어 내고 구출합니다.

스텝과 스커트 가드 사이에 끼었을 경우

스텝과 스커트 가드 패널 사이에 지렛대 등을 밀어 넣고 벌려서 승객을 구출합니다.

핸드 레일 벨트와 데크보다 사이에 손가락이 끼었을 경우

핸드 레일 벨트를 데크에서 떼어 낸 후 구출합니다.